반응형

 

2023 렉서스 RZ 사진
2023 렉서스 RZ 뒷모습 사진
2023 렉서스 RZ 충전 모습 사진

 

6월 21일 렉서스 최초의 전기차(BEV) 전용 모델인 ‘RZ’가 국내 출시된다. 

 

‘RZ 450e’는 렉서스 최초로 전기차 전용 플랫폼인 e-TNGA를 적용하여 전기차에 최적화된 패키징과 높은 차체 강성을 갖춰 렉서스만의 주행 경험을 제공한다.

 

새로운 디자인 아이덴티티인 렉서스 ‘스핀들 보디(Spindle Body)’를 바탕으로 공기 역학적 실루엣과 역동적인 비율로 새로운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한다.

 

인테리어는 ‘타즈나(Tazuna)’ 콘셉트를 바탕으로 운전자의 시선 이동을 최소화하여 주행에만 집중할 수 있는 공간으로 설계되었으며 렉서스 커넥트가 탑재된 14인치 터치 디스플레이, 뛰어난 개방감을 자랑하는 파노라믹 글래스 루프 및 렉서스 최초의 래디언트 히터가 적용되어 운전자 편의성을 극대화했다.

 

RZ 450e에는 프런트 및 리어에 새로 개발된 이액슬(eAxle)이 적용된 다이렉트4(DIRECT4) 사륜구동 시스템이 적용되어 렉서스만의 드라이빙 시그니처를 느낄 수 있으며, BEV 전용 71.4kWh의 대용량 리튬 이온 배터리와 더욱 안전한 주행을 위한 예방 안전 시스템인 렉서스 세이프티 시스템 플러스(Lexus Safety System+)가 탑재되었다.

 

렉서스는 "RZ 모델은 렉서스가 '넥스트 챕터'로 도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동화 모델로 국내 고객들의 다양한 럭셔리 라이프 스타일을 만족시키고자 한다”며, “탄소 중립을 위한 ‘렉서스다운 전동화’를 보여주는 두 모델에 많은 기대와 관심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반응형
반응형

BMW 콘셉트 투어링 쿠페 사진
BMW 콘셉트 투어링 쿠페 사진

 

BMW가 Z3 M Coupe의 후계자를 양산할까요? Z4 베이스로 만든 이 모델이 그 대답이 될 수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반응이 좋다면요. BMW가 "일회성 생산" 모델로 제작되었다고 밝힌 이 콘셉트 투어링 쿠페는 Z4의 긴 주둥이를 후면의 새로운 금속 작업과 결합하여 다양한 윤곽과 전체적으로 깔끔하게 처리된 루프 라인이 나머지 미적 요소와 조화를 이룹니다. 뒷모습은 적절하게 근육질이며, 그 위에는 전통적이고 공격적인 호프마이스터 꼬리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콘셉트 투어링 쿠페는 갈색 도장에 파란색 유리 조각이 박힌 독특한 "스파클링 라리오" 색상으로 마감되었습니다. 실버 브론즈 액센트와 수직 바가 있는 새로운 그릴이 색상을 보완하며, 20-스포크 알로이 휠은 앞 19인치, 뒤 20인치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습니다.

 

외관뿐만 아니라 실내에도 이탈리아 감성이 물씬 풍기는 맞춤 제작이 적용되었습니다. 가죽 공방 폴트로나 프라우는 인테리어를 가로로 두 가지 색상으로 나눈 특별한 바이 컬러 옵션을 제작했습니다. 윗부분은 어두운 톤으로, 아랫부분은 밝은 새들 브라운 컬러로 구성되었습니다. 인테리어와 어울리는 맞춤형 러기지 세트도 준비되어 있어 페라리의 품격을 한층 더 높여줄 수 있습니다. 모데나에서 제작된 이 러기지 세트는 이탈리아 슈퍼카에 장착되는 러기지로 잘 알려진 스케도니(Schedoni)가 제작했습니다.

BMW는 후드 아래에 어떤 기능이 있는지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지만, 이 콘셉트카가 6기통 엔진으로 구동된다고 언급했습니다. 아마도 여러 응용 분야에서 볼 수 있는 것과 동일한 3.0리터 터보차저 B58 엔진일 것입니다.

 

BMW는 이 차가 1940년 밀레 밀리아 내구 레이스에서 우승한 328 투어링 쿠페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말합니다. 양산 가능성이 있을까요?

반응형
반응형

 

역사 속으로 사라졌던 포니 쿠페가 완벽한 모습으로 돌아왔다. 현대자동차는 5월 18일 이탈리아 레이크 코모(Lake Como)에서 '현대 리유니온(Hyundai Reunion)' 행사를 열고 '포니 쿠페 콘셉트' 복원 모델을 최초로 공개했다.

포니 쿠페 콘셉트 복원 작업은 이탈리아의 전설적인 디자이너 조르제토 주지아로(Giorgetto Giugiaro)와 그의 아들인 파브리지오 주지아로(Fabrizio Giugiaro)와의 협업을 통해 진행됐다.

이탈리아 디자인 회사인 'GFG 스타일'의 설립자 겸 대표인 조르제토 주지아로는 포니와 포니 쿠페 디자인을 시작으로 포니 엑셀, 프레스토, 스텔라, 쏘나타 1, 2세대 등 다수의 현대자동차 초기 모델들을 디자인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포니 쿠페 콘셉트는 현대자동차의 역사에서 결코 잊혀질 수 없는 모델이다.

현대자동차가 첫 독자 생산 모델인 포니와 함께 토리노 모터쇼에서 선보인 포니 쿠페 콘셉트는 쐐기 모양의 노즈와 원형의 헤드램프, 종이접기를 연상케 하는 기하학적 선으로 공개 당시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실내 공간은 운전자 중심으로 설계된 대시보드가 어느 차에서도 보지 못했던 독특한 레이아웃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대시보드와 실내 트림 색상을 분리해 지금 보아도 세련된 감성을 선사하고 있다.

포니 쿠페 콘셉트는 1974년 공개 이후 선진 시장을 타겟으로 한 수출 전략 차종으로 실제로 양산 직전까지 개발이 진행되었으나, 1979년 석유파동으로 인한 글로벌 경기 침체 및 경영 환경 악화로 인해 양산에 이르지 못하였고 이후 홍수 등의 자연재해로 인해 도면과 차량이 유실되며 한동안 역사 속으로 사라졌었다.

그러나, 포니 쿠페 콘셉트에는 선진국 진출을 위해 스포츠카라는 분야에 도전한 현대자동차의 담대함과 혁신 정신이 담겨있으며, 이는 오늘날 현대자동차가 고성능 수소전기차 분야를 개척하고 전기차 시장에서의 선도적인 행보를 이어가는데 큰 경험적 자산이 되고 있다. 

또한 포니와 포니 쿠페는 현대자동차의 첫 독자 모델로서, 타사와 구별되는 현대자동차 브랜드만의 고유함이 담긴 물리적 유산으로, 지금까지도 다방면에서 창의적 영감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7월 처음 공개돼 글로벌 미디어와 고객으로부터 호평을 받은 고성능 수소 하이브리드 롤링랩(Rolling Lab) 'N 비전 74'는 포니 쿠페 콘셉트에서 영감을 받아 디자인됐다.

현대자동차는 이날 현장에서 포니 쿠페 콘셉트 복원 모델과 함께 포니 쿠페 콘셉트의 정신을 이은 N 비전 74를 나란히 전시하며 과거부터 오늘날까지 이어져 온 현대자동차의 기술과 디자인적 혁신 및 도전 정신을 선보였다.

현대자동차는 과거 헤리티지를 바탕으로 미래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는 N 비전 74를 전 세계에서 선보이고자 5월 19일(금)부터 21일(일)까지 이탈리아 레이크 코모에서 열리는 세계적인 클래식카·콘셉트카 전시회 '콩코르소 델레간차 빌라 데스테(Concorso d'Eleganza Villa D'Este)에 최초로 출품할 예정이다.

'콩코르소 델레간차 빌라 데스테’는 1929년 처음 시작되어 매년 이탈리아에서 열리는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유서 깊은 클래식카·콘셉트카 전시회로, 자동차의 과거와 미래의 우아함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는 소규모 럭셔리 모터쇼다.

반응형
반응형

2023 현대 무파사 사진
2023 현대 무파사 뒷모습 사진
2023 현대 무파사 사진 뒷모습 2
2023 현대 무파사 트렁크 사진
2023 현대 무파사 실내 사진

 

무파사(Mufasa)는 현대자동차가 2023년부터 중국 베이징현대 합작법인을 통해 생산하는 소형 크로스오버 SUV입니다. 이름은 1994년 디즈니 애니메이션 '라이온 킹'에 등장하는 심바의 아버지 이름을 따서 지었습니다.

 

2023년 3월 24일에 무파사 어드벤처라는 콘셉트카로 미리 공개되었고,  양산 모델은 4월 2023 상하이 오토쇼에서 데뷔했죠. 6월 중국 시장에서 판매될 예정입니다. 

 

디자인은 현대자동차의 센슈어스 스포티니스 디자인 언어를 사용했기 때문에 익숙한 요소도 있지만, 무파사만의 독특한 디자인 요소도 갖추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세로로 길게 뻗은 일체형 헤드램프는 매우 독특해 보이며, 최근 트렌드와 달리 헤드램프가 분할되는 방식을 채택하지 않았습니다.

 

전면부는 그릴이 거의 전면부 전체를 차지하고 그 아래로 날카로운 윤곽의 범퍼가 내려와 매우 공격적인 인상을 줍니다. 얼굴의 듀얼 톤 처리도 특히 멋지게 보입니다.

 

옆모습은 투싼, 베르나와 비슷한 날카로운 캐릭터 라인과 플레어 휠 아치가 특징입니다. 곳곳에 두꺼운 차체 클래딩이 적용되었습니다. 하지만 뒷모습은 투싼과 완전히 다른 모습입니다. 전폭 LED 테일램프는 타원형이며, 중앙에 현대 레터링이 새겨진 유광 블랙 패널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테일 게이트는 깔끔한 반면, 그 아래 범퍼는 클래딩과 인조 디퓨저로 상당히 분주합니다.


무파사 파워트레인 옵션

 

파워트레인은 단순합니다. 앞바퀴에만 160마력을 전달하는 구식 2.0리터 자연흡기 엔진을 장착하네요. 추후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 구성으로 하이브리드 설정도 제공될 예정이지만 현재로서는 그 시기가 미지수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